미혼男 58%, ‘결혼대란시 국제결혼 고려’

김화경 | 기사입력 2009/10/20 [21:09]

미혼男 58%, ‘결혼대란시 국제결혼 고려’

김화경 | 입력 : 2009/10/20 [21:09]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추계에 따르면 지금부터 5년 후인 2014년에는 결혼적령기(남성 29세-33세, 여성 26세-30세)의 남성이 여성보다 38만 명 가량 많아 남성 10명 중 2명은 신붓감을 구하기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현재 결혼을 고려중인 미혼 남성 10명 중 6명 정도는 국제결혼도 고려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대표 손동규)가 14일부터 19일 사이에 전국의 결혼 희망 미혼남녀 564명(남녀 각 282명)을 대상으로 전자메일과 인터넷을 통해 ‘성비 불균형이 심화될 경우 국제결혼에 대한 고려 여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이 질문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려한다’(남 18.1%, 여 8.9%)거나 ‘고려할 만하다’(남 39.4%, 여 23.8%) 등 국제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중이 남성은 57.5%로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여성은 32.7%에 그친 것.
 

반면 ‘가급적 피한다’(남 16.3%, 여 40.4%)거나 ‘절대 안 한다’(남 26.2%, 여 26.9%) 등 부정적 입장은 남성이 42.5%이나 여성은 67.3%를 차지하여 성별로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자세한 응답분포를 보면 남성은 ‘고려할 만하다’(39.4%) - ‘절대 안한다’(26.2%) - ‘적극적으로 고려한다’(18.1%) - ‘가급적 피한다’(16.3%) 등의 순이고, 여성은 ‘가급적 피한다’가 40.4%로서 단연 높고, ‘절대 안한다’(26.9%) - ‘고려할만하다’(23.8%) - ‘적극적으로 고려한다’(8.9%) 등의 순이다.
 

한편 ‘국제결혼을 하는데 있어 가장 큰 걱정거리’에 대해서는 남녀 비슷한 견해를 보였다. 즉 ‘문화’(남 43.0%, 여 30.4%)와 ‘가치관’(남 15.9%, 여 28.8%) 등의 차이를 1, 2순위로 꼽았다. 이어 남성은 ‘언어’(15.4%) - ‘2세’(13.5%)의 순이고, 여성은 ‘2세’(17.1%)) - ‘언어’(12.5%)의 순이다.
 

‘성비 불균형이 심화될 경우 배우자를 찾는데 있어 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남녀간에 정반대의 반응을 보였다. ‘많이 유리하다’(여 3.9%, 남 3.2%)거나 ‘다소 유리하다’(여 41.5%, 남 6.4%) 등 유리할 것으로 보는 비중은 여성이 45.4%인데 반해 남성은 9.6%에 그쳤고, ‘다소 불리하다’(남 37.9%, 여 15.3%), ‘많이 불리하다’(남 12.4%, 여 1.7%) 등 ‘불리하다’는 전망은 남성이 50.3%로서 과반수를 차지했으나 여성은 17.0%에 불과하다. 한편 남성 40.1%와 여성 37.6%는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원본 기사 보기:보도뉴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네트워크배너
서울 인천 대구 울산 강원 경남 전남 충북 경기 부산 광주 대전 경북 전북 제주 충남 세종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