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감(恩監)최진연 작가의 여섯번째 개인展 열려~

오는 6월 2일 부터 15일까지 갤러리푸에스토 개최

황미현 기자 | 기사입력 2015/05/26 [20:15]

은감(恩監)최진연 작가의 여섯번째 개인展 열려~

오는 6월 2일 부터 15일까지 갤러리푸에스토 개최

황미현 기자 | 입력 : 2015/05/26 [20:15]
은감(恩監)최진연 작가의 여섯번째 개인展이 처음으로 회화전으로  전시된다. 오는 6월 2일 부터 15일까지  갤러리푸에스토(서울 종로구 성균관로 92) 에서 개최되며 관람시간은 오전 11시 ~오후10시 까지다.
 
▲     ©황미현 기자


이번 은감(恩監)최진연 작가의 여섯번째 개인展은 처음으로 시도하는 회화전으로 본질은 어느 하나에 국한하여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최 작가는 조각에서의 본질이 그 재료를 의미한다면 회화에서의 본질은 대상으로 보여진다. 이번 작품에서는 작가가 생각하는 회화 작품에서 본질을 나타내고 그 본질에 접근 하는 작업을 보여준다.
 
작품에서 나타나는 만다라는 우주 법계(法界)의 온갖 덕을 망라한 진수(眞髓)를 그림으로 나타낸 불화(佛畵)의 하나로 범어로 Mandala라고 한다. Manda는 '진수' 또는 '본질'이라는 뜻이며 접속어미 la는 '변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만다라의 본래 의미는 본질이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변하게 된다는 것이며,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니는 불화를 뜻한다.
 
▲     ©황미현 기자


은감(恩監)최진연 작가는 전시전을 통해 "작가에게 있어서 변하지 않는 본질에 대한 탐구가 회화로 옮겨 온 것이다"며"작가는 조각과 회화의 차이는 본질적으로 없으며 우리는 모두 일루전 [illusion] 속에서 본질을 잊고 있어 이 작업을 하는 작가는 작업 기간 중 현실과 환영을 표현함과 동시에 자신을 돌아보며 더욱 작품의 본질에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였다"고 말했다.
 
다음은 은감(恩監)최진연 작가의 작품세계를 표현한 것이다.
 
만다라의 성립은 밀교(密敎)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졌다. 사회 구제를 표방하며 이전의 불교가 용인하지 않았던 재래신앙의 요소를 불교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사상체계를 갖추고 탄생한 밀교는 보다 많은 보살(菩薩)을 출현시키고 인도 재래의 신들까지 수용하여 그들의 상(像)을 만들거나 그림으로 그려서 신앙 대상으로 삼았다. 이와 같은 신앙현상을 단순히 다신교적인 현상으로만 받아들이지 않고, 어떤 원리로 통일되면서도 다양하게 전개되는 것임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불화로서 만다라가 성립된 것이다. 따라서 만다라는 관념적인 밀교 미술품인 동시에 밀교의 이론을 체계화하여 설명한 것이기도 하다. 만다라는 크게 양계만다라(兩界曼茶羅)와 별존만다라(別尊曼茶羅)로 나뉜다. 양계만다라는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와 태장계만다라(胎藏界曼茶羅)를 지칭하는데, 이 둘은 밀교의 2대 경전인 『대일경 大日經』과 『금강정경 金剛頂經』을 근거로 하여 그리는 불화로서 만다라의 양대 기둥을 이룬다. 『대일경』에 근거를 둔 태장계만다라는 태장계의 세계를 묘사한 것으로, 여성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 이(理)의 세계이며 물질적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다. 이 만다라의 중심부인 중대팔엽원(中臺八葉院) 안에는 대일여래상을 중심으로 하여 4불(佛)과 4보살을 배치하고 그 주위에는 조금 상을 작게 하여 많은 보살상을 나란히 배치하며, 그 바깥쪽에는 더욱 작은 천신상을 많이 묘사하게 된다. 그리고 4방의 외변에는 천인상(天人像)을 일렬로 배치하고 있으며, 각 변의 중앙에는 만다라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를 구별하는 것을 상징하는 문(門)을 묘사하고 있다. 중대팔엽원의 4보살은 보현보살·문수보살·관음보살·미륵보살이며, 여기에 지장보살과 허공장보살을 첨가하여 6존을 이루게 되고, 이들이 중심적인 보살의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중대팔엽원 주변에는 지장원·허공장원·관음원·문수원·석가원·금강수원(또는 보현원) 등 6원이 있다. 
 
▲     ©황미현 기자


팔엽원의 4불과 4보살은 태장계만다라의 중심이 되는 대일여래의 여러 가지 기능을 분담하여 맡고 있으며, 주위의 6원은 대일여래의 기능을 나타냄과 동시에 각 보살의 세계를 나타낸 것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태장계만다라에는 4백 수십의 존상이 배열되어 있는데, 이들은 대일여래를 중심으로 한 정연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 태장계만다라가 여성적인 원리에 의한 이(理)의 세계를 표방한 것이라면 금강계만다라는 남성적 원리에 의한 지(智)의 세계, 정신적 세계를 표방한 것이다. 이는 『금강정경』을 기초로 하여 그린 불화로서 태장계만다라와는 구도적인 면에서 연관성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대립적인 불화이다. 금강계만다라는 금강계의 세계를 표현함에 있어 구체적인 방형(方形)으로 묘사하지 않고 가로와 세로 3개씩의 선을 그어 전체를 9등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만다라를 구회만다라(九會曼茶羅)라고도 한다. 
 
▲     ©황미현 기자


이 만다라의 중심에는 태장계만다라의 중대팔엽원에 해당하는 성신회(成身會)가 있고, 성신회의 하단에는 오른쪽으로부터 강삼세삼매야회(降三世三昧耶會)·삼매야회·미세회(微細會)가 있으며, 성신회의 오른쪽에는 강삼세갈마회(降三世羯磨會), 왼쪽에는 공양회(供養會), 성신회의 상단에는 오른쪽으로부터 이취회(理趣會)·일인회(一印會)·사인회(四印會)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9회 중 성신회 상단에 있는 3회에는 존상이 많이 묘사되고, 나머지 성신회 좌우 2회와 하단의 3회에는 존상보다는 상징적인 것을 많이 묘사하고 있다. 즉, 추상적인 것과 구상적인 것을 상하로 나누어 그 중심에 성신회를 두어 이들을 통합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별존만다라의 구성은 매우 다양성을 띠고 있다. 그 중에는 양계만다라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있었던 정토적(淨土的) 표현방식인 것도 있고, 양계만다라적 구성과 정토적 구성을 혼합한 것도 있다.
▲     ©황미현 기자

그리고 양계만다라에서 분화된 별존만다라가 있고, 양계만다라와는 맥을 달리하는 현교적 불화로서 별존만다라가 있다. 따라서 양계만다라 이외의 만다라는 모두 별존만다라라고 할 수가 있다. 불화가 발전해온 과정에서 볼 때 극락의 정경을 묘사한 정토도(淨土圖)와 같은 크기의 상을 무수히 배열하여 그 사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천불도(天佛圖) 등이 별존만다라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같이 별존만다라는 현실적인 공간배열보다는 상징적이고 이념적인 면에서 도식화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는 밀교의 본격적인 만다라라고 할 수 있는 양계만다라는 전해오지 않는다. 우리 나라에 밀교가 처음으로 들어온 것은 신라시대 명랑(明朗)에 의해서였고, 그 뒤 혜통(惠通)·혜일(惠日) 등에 의하여 여러 차례 밀교가 전해왔으나 양계만다라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이것을 인도 밀교 중기 이후에 발생한 순밀(純密)이라고 하는데, 현재 우리 나라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밀교는 인도 밀교 초기에 발생한 잡밀(雜密) 계통이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만다라는 초기 밀교에 바탕을 둔 불화이다. 특히 우리 나라의 밀교는 잡밀 중에서도 화엄밀교(華嚴密敎)에 속하기 때문에 만다라 또한 양계만다라가 아닌 화엄만다라가 기본을 이루고 있다. 그 까닭은 만다라의 일차적 원리가 다양한 신앙형태를 체계적으로 통일한다는 기본 원리에 입각한 것으로서, 우리 나라의 불화는 다양한 신앙형태를 화엄의 원리에 입각하여 통일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석가의 성도상(成道相)·설법상(說法相)을 묘사한 불화는 만다라적인 성격을 지닌 우리 나라 특유의 독창적인 불화이다. 성도상을 나타낸 불화를 화엄변상도(華嚴變相圖) 또는 화엄만다라라고 하며, 설법상을 나타낸 불화를 법화변상도 또는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라고 한다. 화엄만다라는 『화엄경』에 기록된 8회의 설법내용을 묘사한 불화이다. 8회의 설법 중 앞의 2회와 뒤의 2회는 지상의 설법이고 중간의 4회는 천상의 설법이다. 이 8회의 설법 내용은 객관적인 사실이라기보다는 석가모니가 깨달은 경지에서 본 세상의 근본 도리로서, 그 세계는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에 의해서 통합된 세계이다. 그리고 『화엄경』에서는 이와 같은 무수한 세계를 나타내면서 고대 인도의 재래신들을 모두 수용하여 불교의 호법선신(護法善神)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화엄만다라에는 비로자나불을 비롯하여 무수한 불보살과 호법신들이 묘사된다. 이것은 우주 삼라만상에다 인격을 부여하여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화엄만다라에 그려지는 호법선신은 다시 호법신에 대한 신앙이 강조됨에 따라 독립된 신중도(神衆圖)로 분화되었는데, 이는 양계만다라와 별존만다라와의 관계와 같다. 또한 영산회상도는 석가모니가 영산에서 제자들에게 설법하는 법회장의 모습을 묘사한 불화로서, 석가모니의 설법에 의하여 그 세계가 정토가 되고 있다는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따라서 영산회상도는 석가 정토의 광경을 묘사한 불화이며,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많은 보살과 승려, 호법신인 사천왕(四天王)이 그려져 있어 만다라적인 성격이 나타난다.
 
▲ 최진연 작가     ©시사우리신문편집국
Solo Exhibition

2014 La Définition de l'ELEMENT (8 Street, Seoul)
2012 MASK;Μύθοι στην Ελλάδα και τη Ρώμη (gallery GOLMOK, Seoul)
2010 ELEMENT;2010 (Gong Art Space, Seoul)
2007 Digital Media Project (Seoul)
2004 ELEMENT project – Hyun Dai Motors (Seoul)
 
Exhibition
 
 

2014 Freesm (관훈, Seoul)
2014 수중조각 展 (63 Sea World, Seoul)
2014 빵 빵 빵 (Seoul City Hall, Seoul)
2014 Drawing,Wing,Wing,Wing 展 (Artspace O, Seoul)
2014 Objet 展 (Galllery27, Uiwang-si Gyeonggi-do)
2014 원 展 (Hongik Museum of Art, Seoul)
2014 AS Project (그 문화 갤러리, Seoul)
2013 storage space (Korea’s Murano Daebu-do Glass Island/ MACart Museum,(Ansan-Si Gyeonggi-do)
2013 Video Art Archive (Make Shop Sapce , Paju)
2013 RAPSODY OF PAPER II (Galllery27, Uiwang-si Gyeonggi-do)
2013 원 展 (Hongik Museum of Art, Seoul)
2013 안녕, 목련다방. 안녕, 공작다방 (공작다방, Seoul)
2013 IN + OUT展 (gallery IS, Seoul)
2013 After School;Media & Sculpture (gallery27, Uiwang-si Gyeonggi-do)
2013 Media & Sculpture (gallery MOA, Heyri Art Valley)
2012 Jogye Order of Korea Buddhism-SMILE展 (Sejong Center, Seoul)
2012 Video Art Archive (Make Shop Sapce , Paju)
2012 Broken Space (Space I-SO, Daegu)
2011 Broken Shop (Kunst Doc, Seoul)
2011 Portfolio展 (Space I-SO, Daegu)
2004 Element Project (gallery27, Uiwang-si Gyeonggi-do)
2004 Roman Catholicsm Commamoration ‘the Fact’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네트워크배너
서울 인천 대구 울산 강원 경남 전남 충북 경기 부산 광주 대전 경북 전북 제주 충남 세종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